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상자산 거래소의 예치금 이용료 지급에 대한 정리

by 성우로그 2024. 7. 27.

가상자산보호법이 시행됨에 따라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가 투자자에게 연평균 1.8%의 예치금 이용료를 지급할 예정입니다. 가상자산 거래소는 고객이 맡긴 현금, 즉 예치금을 은행에 맡기고, 이자수익 중 일부는 고객에게 지급하게 됩니다. 1.8%의 이용료율은 증권사 예치금 이자율보다 높은 수준이고, 은행의 파킹통장 이자율보다는 낮은 수준입니다. 지금부터 가상자산 거래소의 예치금 이용료 지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상자산 거래소 예치금 이용료 지급

 

목차

     

    고객 예치금에 이용료 지급

     

     최대 2.5% 이율 책정

    가상자산 거래소는 가상자산보호법 시행에 따라 고객 예치금에 대한 이용료율을 책정해 발표했습니다. 국내 원화마켓 거래소 5곳의 예치금 이용료율은 1.0%에서 2.5%까지 거래소마다 제각각 다릅니다. 각 거래소마다 예치금 이용료율을 실시간으로 올리는 등 치열한 눈치싸움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법적 근거

    가상자산보호법 제6조 제1항과 감독 규정 제5조에 따르면 가상자산사업자는 은행에 이용자의 예치금을 맡기고 운영수익과 발생 비용 등을 감안한 예치금 이용료를 이용자에게 돌려줘야 합니다.

    가상자산보호법 제6조 제1항
    (출처: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예치금 현황

    가상자산 거래소가 제휴 은행에 맡기는 고객 예치금 규모는 최대 수조원에 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에는 고객이 거래소에 맡긴 예치금에서 이자수익이 발생하더라도 고객에게 돌려줄 법적 근거가 없었습니다. 업비트는 케이뱅크, 빗썸은 NH농협은행, 코인원은 카카오뱅크, 코빗은 신한은행, 고팍스는 전북은행과 실명확인입출금계좌 제휴를 맺고 있습니다.

     

    구분 제휴 은행 이용료율
    업비트 케이뱅크 2.1%
    빗썸 NH농협은행 2.2%
    코인원 카카오뱅크 1.0%
    코빗 신한은행 2.5%
    고팍스 전북은행 1.3%

     

     

    거래소의 이자율 설정 전략

     

     파킹통장 금리보다 약간 낮은 수준

    각 거래소마다 예치금 이용료율이 다른 이유는 제휴은행 파킹통장 금리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업비트는 케이뱅크와 제휴를 맺고 있는데 케이뱅크의 파킹통장인 플러스박스는 2.3%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도 이보다 약간 낮은 수준인 2.1%로 결정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가장 높은 이용료를 주는 코빗도 신한은행 파킹통장 금리와 비교하면 0.5% 포인트 낮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예치금 이용료율이 높아지면?

    먼저 가상자산 거래소의 예치금 이용료율이 제휴은행 파킹통장 금리보다 높아질 경우 거래소는 역마진에 빠지게 되고 제휴은행도 영업 기반을 잃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가상자산 거래소는 제휴은행의 파킹통장 금리보다 살짝 낮은 수준에서 예치금 이용료율을 설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전망

     

     장기적으로 거래소에 부담

    예치금에 대한 이자 지급은 거래소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거래소들이 경쟁적으로 예치금 이용료율을 올렸는데, 업비트는 1.3%에서 2.1%로, 빗썸은 2.0%에서 2.2%로, 코빗은 1.5%에서 2.5%까지 올렸습니다. 예치금 이용료율을 올린 거래소들은 제휴은행과 재협의를 거치지 않고 자체적으로 높이기로 결정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즉, 거래소들이 예치금 이용료율을 올리면서 지급해야 하는 이용료의 일부를 떠안게 된 것입니다.

     

     앞으로 이용료율은 하락할수도

    제휴은행으로부터 이자를 보전받지 못하는 거래소들은 자체적으로 이자 비용을 충당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거래소의 경영 여건에 따라 예치금 이용료율은 내려갈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고객 유치를 위해 경쟁적으로 예치금 이용료율을 높였지만 자체 비용 부담이 계속되면 이용료율을 내리는 방향으로 귀결될 수 있습니다.

     

     

    맺음말

     

    가상자산 예치금 이용료는 사실상 투자 대기자금의 이자와 같습니다. 고객 입장에서는 그동안 지급하지 않았던 이용료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뜻하지 않은 수익을 얻을 수 있어 좋지만, 반대로 가상자산 거래소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현재는 신규 고객 유치를 위해 가상자산 거래소마다 경쟁적으로 이용료율을 올린 측면이 있습니다. 따라서 시간이 흐르면 예치금 이용료율이 낮아질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지금까지 가상자산 거래소의 예치금 이용료 지급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