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내년부터 급감하는 아파트 공급 물량, 원인과 영향 정리

by 성우로그 2024. 3. 9.

부동산 시장침체가 지속되고 공사비도 급등하면서 신규 아파트 공급 물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신규 공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면서 아파트 가격 상승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점점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앞으로 줄어드는 아파트 공급 물량과 감소 원인, 영향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파트 공급 물량의 감소 원인 및 영향

 

목차

     

    2025년부터 공급 절벽 현실화

     

    앞으로 3년(2025년~2027년) 간 전국에 약 45만 가구 정도가 신규 공급될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45만 가구는 이전 3년(2022년~2024년)의 103만 2,237 가구의 43%에 그치는 수준으로 향후 3년간 아파트 신규 공급이 매년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셈입니다.

    연도별로 나눠서 보면 2025년 24만 8,032가구, 2026년 13만 2,031 가구, 2027년 7만 2,052 가구로 해가 지날수록 점점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 물량은 2020년 이후 하락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2020년 10만 9,306 가구, 2021년 10만 6,872 가구, 2022년 8만 7,170 가구, 2023년 5만 9,850 가구까지 떨어졌습니다.

    또한, 지역별로 살펴보면 공급이 거의 마무리된 세종시에서 공급량이 90.2% 급감할 것으로 전망되고, 대구도 79.0%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그 밖에 충남 67.1%, 인천시 64.8%, 부산시 61.0%, 울산시 59.2%, 광주시 56.7% 정도 감소할 전망입니다.

     

     

    공급 물량 감소 원인

     

     부동산 경기 침체

    아파트 공급 물량이 감소하는 가장 큰 원인은 부동산 경기 악화입니다. 부동산 경기가 호황일 때는 건설사들이 적극적으로 신규 아파트 건설에 나서고, 분양을 통해 이익을 보는 구조가 형성되면서 아파트 공급 물량이 늘어나게 됩니다. 하지만 고금리, 고유가 등으로 부동산 경기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경제 전반 분위기가 가라앉은 상태로 건설사가 신규 아파트 건설한다고 해도 미분양 등으로 인해 이익을 보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건설 공사비 급등

    최근 재개발, 재건축 공사비가 급등하면서 정비사업 현장 곳곳에서 갈등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서울시 재개발, 재건축 공사비 추이를 살펴보면 2019년 평당 490만 2,000원에서 2023년 754만 5,000원으로 약 53.9%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요즘 재개발, 재건축 정비사업 분위기를 보면 곧 평당 공사비가 1,000만원을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서울 개포한신아파트 재건축 조합은 시공사 입찰 공고에서 평당 공사비로 920만 원을 제시했고, 신반포 27차 조합은 평당 공사비를 958만 원으로 올렸습니다.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신축 아파트 가치 상승

    아파트 공급 물량이 줄어들면 앞으로 신축 아파트 가격 상승을 촉발할 수 있습니다. 수요와 공급 측면을 나눠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축 아파트에 대한 거주 수요는 꾸준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구축과 신축을 비교하면 당연히 신축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공급 측면을 살펴보면 아파트 공급 물량이 대거 감소하면서 수요대비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주택 가격이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요와 공급 균형을 위한 공급 확대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습니다. 

     

     전세 가격에도 영향

    또한, 전세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특히 아파트 수요가 많은 수도권에서 신규 공급량이 줄면 전세가격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축 아파트 공급은 한정적이고 신축 아파트를 원하는 수요는 꾸준한 상황에서 신축 아파트 매매 가격은 고가라는 점 등을 생각해보면 매매보다는 전세로 거주하려는 수요도 많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즉,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수요대비 공급이 줄면서 전세가격도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맺음말

     

    부동산 시장은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시장입니다. 특히 공급은 택지 개발 등 정책적인 부분과 맞물려 있고, 아파트 건설에 오랜 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공급 확대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앞으로 3년간 신규 아파트 공급 물량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다고 합니다. 신규 공급 물량이 줄어든다는 것은 아파트 매매 또는 전세 가격 상승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이 됩니다. 아파트 가격 안정화를 위해 수요와 공급의 균형 유지가 필요하고, 이를 위한 아파트 공급 확대 계획이 필요합니다. 다만, 현재 경제 상황 및 인건비, 원자재 등 높아진 공사비를 감안하면 아파트 공급 확대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앞으로 줄어드는 아파트 공급 물량과 그에 대한 원인 및 영향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