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밸류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배당성향, 배당수익률과 같은 주주 환원 관련 용어가 뉴스에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배당성향과 배당수익률은 모두 주주에게 얼마나 돌려주는지를 보여주는 배당과 관련된 지표입니다. 지금부터 배당성향, 배당수익률의 뜻과 상황에 따른 해석에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배당성향
정의
배당성향은 당기순이익 중 배당액의 비율을 말합니다. 즉, 기업이 1년간 벌어들인 순이익에서 배당으로 주주에게 주는 금액이 얼마나 차지하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당기순이익이 100억원인 회사에서 배당액으로 10억원을 지급했다면 배당성향은 10%가 됩니다. 그리고 배당액 10억원을 전체 주식 수로 나누는 주당 배당액도 알 수 있습니다.
배당성향에 대한 해석
배당성향이 높을 때
배당성향이 높다는 것은 순이익 중 배당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시 말해 기업 입장에서는 사내 유보금이 줄어드는 것이므로 재무구조 악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주 입장에서는 배당성향이 높을수록 주주 몫으로 분배되는 배당금이 많아지게 되는 것으로 투자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다른 조건이 모두 유사하다고 하면 배당성향이 큰 기업일수록 주가도 높은 경향을 보입니다.
배당성향이 낮을 때
배당성향이 낮다는 것은 순이익 중 배당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다는 것으로 기업 입장에서는 사내 유보금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기업은 충분한 사내 유보금을 활용하여 신사업 투자 등에 나설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주 입장에서는 배당성향이 낮을수록 배당금이 적어지는 것이므로 투자 유인이 충분하지 않게 됩니다.
배당수익률
정의
배당수익률은 주당 배당금을 현재 주가로 나눈 비율입니다. 즉, 주주들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 때 배당금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주당 배당금이 1,000원이고, 현재 주가가 10,000원이면 배당수익률은 10%입니다. 배당수익률이 높으면 배당투자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이 많아지게 됩니다.
배당수익률 해석
배당수익률이 높다는 것은 최근 배당금이 높은 기업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같은 배당금을 지급하는 다른 기업과 비교할 때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주가가 낮을수록 배당수익률은 높아지게 됩니다.
배당주 투자 시에는 배당수익류이 어느 정도 높은 종목을 선택해야 하지만, 배당수익률이 지나치게 높은 종목은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배당수익률이 지나치게 높다는 것은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주가가 지나치게 낮다는 것에 대한 또 다른 표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주가가 하락해 일시적으로 배당수익률이 높아진 기업은 투자 전 펀더멘탈이 우수한지 함께 체크해야 합니다.
우리나라 상장사 배당 현황
배당에 인색한 국내 기업
정부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밸류업 프로그램을 도입하며 주주 환원 정책 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국내 주요 상장기업은 배당에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3년(2020~2022년) 연속으로 한번도 배당을 실시하지 않은 기업이 190개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전체 상장사 782개사의 약 24%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즉, 대략 4개 기업 중 하나는 3년 동안 한 번도 배당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해외 주요국 배당성향과 비교
해외 주요국가와 비교하면 우리나라 기업이 얼마나 배당에 인색한지 알 수 있습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 배당성향은 20.1%로 조사되었습니다. 해외 주요 국가 배당성향을 알아보면 미국 40.5%, 영국 45.7%, 독일 40.8%, 프랑스 39.3%, 일본 36.5%, 중국 35%, 대만 52.5%로 나타났습니다.
맺음말
배당성향과 배당수익률을 통해 기업이 어떠한 배당 정책을 운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배당성향이 높으면 당기순이익 대비 배당액의 비중이 높은 것이고, 배당수익률이 높은 것은 현재 주가 대비 주당 배당액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배당 관련 지표의 수치가 높은 기업은 주주 친화적인 적극적인 배당 정책을 펼치는 기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배당성향과 배당수익률의 뜻과 해석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