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는 수도권과 서울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급행 철도입니다. 가장 먼저 시작된 GTX-A 노선은 3월에 수서~동탄 구간이 먼저 개통됩니다. GTX-B, C 노선은 연내 착공이 목표입니다. 정부는 최근 GTX 2기 사업 추진을 발표했는데 GTX 2기 사업은 GTX A~C 노선 연장과 GTX D, E, F 노선 신설입니다. 지금부터 GTX 2기 사업의 주요 내용 및 GTX가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GTX 2기 사업 본격화
GTX 2기 사업 시작
GTX 2기 사업은 기존 노선인 A~C 연장과 신규 노선인 D~F를 신설하는 것입니다. 기존 A~C 노선을 충청, 강원권까지 연장하고, D~F 노선을 신설하여 촘촘한 철도망을 완성하려는 것이 핵심입니다. 기존 노선 연장은 그동안 GTX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짧은 운행거리를 보완하는 목적이고, 신규 노선 신설은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 구현을 위한 핵심 수단입니다.
연장 노선
GTX-A는 평택까지, GTX-B는 춘천까지, GTX-C는 동두천부터 아산까지 연장하는 계획입니다. 기존 노선 연장 사업은 지자체 비용 부담 방식을 먼저 협의하고, 예비타당성 조사 등 절차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가능하면 임기 내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A노선과 C노선 연장과 관련 있는 지자체는 비용을 부담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고, B노선 연장 관련 지자체는 아직 협의 중입니다.
신설 노선
신설 노선인 GTX-D~F는 제4차 국가철도망계획에 전체 노선을 함께 반영하고, 구간별 개통을 추진합니다. 신설 노선별 1단계 구간을 알아보면 D노선은 김포/인천~교산/원주, E노선은 인천~덕소 전 구간, F노선은 왕숙~ 교산 구간만 해당됩니다. 1단계 구간은 2035년 개통을 목표로 임기 내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하는 것을 1차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GTX에 대한 기본 정보
GTX 의미
GTX는 Great Train Express의 줄임말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GTX는 지하 40m 이하 대심도를 일반 지하철보다 2배 이상 빠른 최고 시속 180km로 달릴 수 있습니다. 다만, 지하 40m를 달리게 되면서 지상까지 역을 건설하는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GTX의 평균 운행 속도와 역 건설 비용 등을 고려하면 정차하는 역을 최소화하여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TX 노선
GTX-A는 현재 개통이 가장 빠른 노선으로 수서~동탄 구간이 올해 3월에 개통되며, 파주 운정~서울역 구간은 올해 안에 개통될 예정입니다. 다만, 삼성역을 포함한 전 구간은 2028년에 개통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GTX-B는 인천~마석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2024년 8월에 착공할 예정으로 2030년이 개통 목표입니다.
GTX-C는 2024년 1월 착공했으며, 수원~양주를 연결하는 노선입니다. 2028년 개통 목표로 공사가 시작되었습니다.
GTX-D~F는 신설 노선으로 지금 시점에서는 정해진 것이 거의 없는 매우 유동적인 상황입니다. GTX-D는 김포와 인천~팔당/원주 노선이고, GTX-E는 인천~덕소까지, GTX-F는 교산~왕숙 구간을 우선 추진하는 순환 노선입니다. 현재 계획 단계로 큰 기대를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GTX 요금
2024년 3월에 개통하는 GTX-A의 요금이 GTX 요금 체계의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GTX-A의 요금 체계안이 관계 기관에 공개되었는데, 기본요금은 3,200원, 거리요금은 5km 당 250원으로 최소 3,450원부터 시작합니다. 해당 요금 체계에 다르면 수서~동탄 구간 요금은 4,450원으로 계산됩니다. 구간 길이가 28.3km로 최소운임 3,450원에 거리요금 1,000원이 가산됩니다. 또한, 수도권 통합 환승제에 포함되어 할인이 적용되고, 주말에는 10% 할인됩니다. GTX-A 요금은 추가 검토를 거쳐 2월 초에 최종적으로 확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맺음말
정부는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 구현을 위해 대대적인 GTX 사업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다만 정부의 발표에서 부족한 부분은 사업비 조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없었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GTX 사업에 약 38조 6천억원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국비 30조원, 지방비 13조 6천억원, 민간투자 75조 2천억원으로 나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부는 지자체 비용 부담과 민간 투자 유치를 통해 사업비를 충당하고자 하지만 아직 사업성 검토도 이루어지지 않아 민간투자 유치가 가능할지도 확신할 수 없습니다. 민간 사업자를 찾지 못한다면 결국 국가 재정이 투입될 수밖에 없습니다. 지금까지 GTX 2기 사업과 GTX에 대한 기본 정보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