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MSCI지수의 뜻과 유형, 선진국지수 편입의 의미와 효과 정리

by 성우로그 2024. 2. 16.

정부는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을 목표로 시장 접근성을 높이는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MSCI 선진국지수 편입 기준을 단기간에 충족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또한, 2024년 6월까지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로 인해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이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지금부터 MSCI지수와 선진국지수 편입 가능성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SCI지수 뜻과 유형, 선진국지수 편입 의미와 효과

 

목차

     

    MSCI지수란 무엇일까

     

     국제 금융 펀드의 벤치마크

    MSCI지수는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Index의 약자로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에서 작성하여 매년 발표하는 지수입니다. FTSE지수와 함께 국제 금융 펀드의 투자 기준이 되는 최초의 국제 벤치마크로 미국계 펀드의 95%가 MSCI지수를 펀드 운용의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MSCI지수를 따르는 전 세계 펀드 규모만 약 3조 5천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MSCI지수 산출 기준

    우리나라의 경우 삼성전자, 현대차 등 대형 우량주 위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MSCI지수는 유동주식 기준으로 정부 보유 및 계열사 보유 지분 등 시장에서 거래되기 어려운 주식을 제외하고 지수를 산출합니다. MSCI지수 종목 편입, 편출은 매년 2월, 5월, 8월, 11월에 이루어지는데, 2월과 8월은 분기 변경, 5월과 11월은 반기 변경입니다.

     

     MSCI지수는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

    먼저 MSCI 선진국지수(MSCI World Index)가 있습니다. MSCI 선진국지수는 MSCI가 선진시장으로 인정한 23개국을 대표하는 대형주, 중형주 위주로 구성됩니다. 선진시장으로 분류되는 23개국은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에,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홍콩, 아일랜드,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싱가포르,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 미국입니다.

    MSCI 신흥국지수(MSCI EM Index)는 MSCI가 신흥시장으로 분류한 27개국의 대형주, 중형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1992년 신흥국지수에 편입되어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MSCI 프런티어시장 지수(MSCI Frontier Market Index)는 개발도상국 위주로 종목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선진국지수에 편입될까

     

     3가지 편입 기준 충족 필요

    MSCI 선진국지수에 편입되기 위해서는 경제성장 정도, 주식시장 규모 및 유동성 정도, 시장 접근성 등 크게 세 가지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3가지 기준 중 경제성장 정도와 주식시장 규모에 대한 두 가지 기준은 이미 충족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문제는 시장 접근성입니다. 시장 접근성이란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시장에 얼마나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개념입니다.

     

     선진국지수 편입 가능성

    선진국지수에 편입되기 위해서는 먼저 MSCI의 관찰대상국에 올라가야 합니다. 그리고 1년 후에 선진국지수 편입 여부가 결정됩니다. 우리나라는 2008년에 관찰대상국에 등재되었지만 선결조건을 미충족 했다는 사유로 2014년에 관찰대상국에서도 제외되었습니다.

    정부는 MSCI 선진국지수 편입 노력의 하나로 외환시장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고 외환시장 개장시장 새벽 2시까지 연장, 외국인 투자자 의무등록제 폐지, 배당제도 개선, 영문 공시 의무화 등을 추진한다고 밝혔지만 아직 MSCI 기준에는 미흡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2024년 6월까지 국내 주식시장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가 MSCI 선진국지수 편입에 커다란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정부는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을 단기적 과제가 아닌 중장기적으로 단계적 준비를 통해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예상되는 편입 효과

    MSCI 선진국지수 편입으로 국내 주식시장에 대규모 자금 유입 등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자본시장연구원은 선진국지수 편입 시 우리나라 주식시장으로 50~360억 달러 범위의 자금이 순유입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선진국지수 추종 자금은 대부분 장기 자금이므로 단기 충격으로 인한 유출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주식시장 변동성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주식시장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 해소, 자본시장 안정성 향상 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맺음말

     

    정부는 MSCI 기준에 미비한 제도를 보완하면서 2024년 6월에 MSCI 관찰대상국이 되고 다음 해인 2025년 6월에 선진국지수로 편입되는 플랜을 계획했습니다. 다만, 여기서 큰 변수가 발생했는데, 2024년 6월까지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입니다. 공매도 전면 금지로 인해 2024년 6월에 MSCI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공매도 전면 금지와 별개로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을 위한 제도 개선을 계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MSCI지수의 뜻과 유형, 선진국지수 편입의 의미와 효과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