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링크플레이션은 가격은 그대로 두고 용량을 줄여서 우회적으로 가격을 인상하는 방식입니다. 정부는 최근 물가 안정을 위해 이러한 방식의 꼼수 인상을 억제하고자 가격 동향을 점검하고 현장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같은 물가 관리를 통해 기업의 그리드플레이션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물가 상승 시기에 나타날 수 있는 슈링크플레이션과 그리드플레이션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슈링크플레이션
슈링크플레이션은 제품의 가격은 유지하면서 제품의 수량이나 크기, 중량 등을 낮춰서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은 shrink와 inflation의 합성어로 shrink는 줄어들다, 감소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inflation은 물가 상승을 의미합니다.
소비자들은 가격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가격 인상 대신에 제품의 중량이나 크기를 줄이는 방식으로 우회적인 가격 인상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정부는 슈링크플레이션은 소비자 몰래 이루어지고 한눈에 알 수 없기 때문에 정직한 판매 행위가 아닌 불공정한 행위로 보고 있으며, 기업의 편법 인상을 억제하고자 주요 생필품 가격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체감도 높은 물가안정대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그리드플레이션
그리드플레이션은 기업이 물가 상승을 이유로 폭리를 취하기 위해 가격을 인상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드플레이션은 greed와 inflation의 합성어입니다. greed는 탐욕을 의미하고 inflation은 물가 상승을 의미합니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가격 및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전 세계적인 물가 상승이 일어나자 시장 지배력이 있는 대기업들이 제품 및 서비스 가격을 과도하게 올리는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시장 지배력이 있는 대기업입니다. 시장 지배력이 있기 때문에 슈링크인플레이션이 아닌 직접적으로 가격을 올려도 소비자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구매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소비자는 가격 상승에 대한 민감도가 높지만, 기업은 물가 상승을 핑계로 가격을 올리고 소비자들에게 이 가격이 정상 가격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힐 때까지 버텨서 폭리를 취하는 것입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외부요인으로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폭리를 취한 정유사, 은행 등에 대해 횡재세를 도입하자는 논의가 시작되었고, 유럽 등 해외 여러 나라에서는 이미 도입하여 횡재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
맺음말
슈링크플레이션과 그리드플레이션은 공통적으로 물가 상승으로 인한 제품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표현하는 용어입니다. 차이가 있다면, 슈링크플레이션은 우회적인 가격 상승 방식으로 기존 가격을 유지한 채 제품의 중량이나 크기 등을 줄여 가격 상승 효과를 누리는 것이고, 그리드플레이션은 시장 지배력을 기반으로 직접적으로 제품 가격을 올리는 행위입니다. 원자재, 에너지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한 제품 가격 상승 요인을 무조건 억제하는 것이 기업 입장에서는 억울한 측면도 있지만, 정부는 서민 물가 안정을 위해서 가격 급등을 최대한 통제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슈링크플레이션과 그리드플레이션의 의미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횡재세 정의, 장단점, 해외 도입 사례 정리
최근 민주당에서 은행, 정유사 등을 대상으로 사회적 고통 분담 차원에서 한국형 횡재세 도입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정유사, 은행과 같은 업종의 과도한 초과이익의 일부를 사회 환원화여 소
reviewunited.tistory.com
인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의 의미 정리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자 세계 각 국은 유래 없는 제로 금리 정책을 펼치면서 시장에 유동성이 넘치도록 공급되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유동성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
reviewunite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