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장단기 금리 차이 의미와 장단기 금리 역전

by 성우로그 2023. 10. 21.

장단기 금리 차이는 장기 채권 금리에서 단기 채권 금리를 뺀 수치로, 미국의 장단기 금리 차이는 경제 상황을 나타내주는 중요한 지표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장단기 금리 차이가 확대되면 경기 회복, 장단기 금리 차이가 줄어들면 경기 불황의 시그널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장단기 금리 차이의 의미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단기 금리 차이 의미

 

목차

     

    장단기 금리 차이

     

    장단기 금리 차이란 일정 시점에서 장기 금리와 단기 금리의 차이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장기 국채 금리는 단기 국채 금리보다 높게 형성되고 있습니다. 이는 유동성 프리미엄 가설에 따르면 채권 금리는 만기가 길수록 불확실성에 대해 추가적인 보상을 반영하여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10년물 국채 금리와 2년물 국채 금리를 기준으로 장단기 금리 차이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미국 장단기 금리 차이는 경기를 판단하는 주요한 지표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10년 만기 국고채와 3년 만기 국고채를 비교하여 장단기 금리 차이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의 장단기 금리 차이를 살펴보면, 지금 10년물 국채 금리보다 2년물 국채 금리가 더 높은 상황이 1년 넘게 지속되고 있습니다. 10 20일 기준,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4.914%, 2년물 금리는 5.071% 2년물 금리가 0.157% 높은 상황입니다. 이는 분명히 경제학적으로 일반적인 상황은 아닙니다.

     

    미국 장단기 금리 차이 추세
    미국 장단기 금리 차이 추세(10년물 국채와 2년물 국채)

     

    현재 미국 채권 시장 상황

     

    장단기 금리 차이는 채권 시장에 의해서 영향을 받습니다. 최근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상승하는 것은 미 연준의 강력한 매파적 통화정책 기조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더 이상 금리의 추가 상승이 없을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와는 반대로 매파적 통화정책이 지속될 것이라는 미 연준의 입장 발표에 기인한 것입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다고 하면서 일정 기간 추세를 밑도는 성장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고금리의 장기화,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입니다.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

     

    장단기 금리 역전은 장기 10년물 국채 금리보다 단기 2년물 국채 금리가 높은 현상입니다.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오면 경기 침체의 신호로 해석됩니다. 과거 사례를 분석해 보면1980년 이후로 장단기 금리 역전은 총 5번 있었는데 4번의 금리 역전 이후에 금융 위기가 찾아왔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장단기 금리역전은 과거 금리 역전과는 양상이 다릅니다. 과거 금리 역전은 10년물 국채 금리가 내려가서 발생했지만, 이번 금리 역전은 10년 국채 금리가 상승해서 발생한 결과입니다. 거싲거으로 미 정부 재정 적자 확대로 장기 국채 발행량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수요가 그에 미치지 못하면서 가격이 하락하고 금리가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맺음말

     

    미국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은 1년 넘게 지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금리 역전 현상은 과거의 사례와는 다르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난 사례는 장기 국채 금리 하락이 원인이었지만 지금의 원인은 장기 국채 금리의 상승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장단기 금리 역전은 거시 경제적 관점에서 미국 국채 수요공급에 따라 발생한 경제적 현상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향후 미국 국채 금리의 방향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장단기 금리 차이의 의미와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 의미, 채권 금리 상승 원인과 영향

    미국 국채 금리가 미국 연준의 고금리정책이 예상보다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16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글로벌 채권 금리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미국 채권 10년물의 금리는 연 4

    reviewunited.tistory.com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과 한미간 금리 차이의 경제적 영향

    오늘 10월 19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현행 3.5%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결정으로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3.5%를 9개월째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미 연준은 지속적

    reviewunite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