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는 특정 주식의 가격이나 지수에 연동된 상품으로 만기까지 사전에 정해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정해진 수익률을 지급받는 구조의 상품입니다. 기초자산의 종류에 따라 중위험, 고위험을 추구하는 다양한 상품 구조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ELS는 파생상품으로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합니다. 지금부터 ELS의 개념, 상품구조, 위험성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ELS란
ELS(Equity Linked Securities)는 기초자산 가격 변동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수익구조에 의해 특정 시점에 자동 조기 상환 또는 만기 상환 시 지급액을 받을 수 있는 파생상품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만기 3년 동안 개별 주식 또는 주가지수가 절반 이하로 하락하지 않으면 연 6%~7%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수익률을 사전에 확정하는 것이 특징으로 예상대로 주가가 흘러간다면 약정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상품 구조
ELS 상품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기초자산, 수익률, 조기상환 배리어, 낙인배리어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합니다.
기초자산
기초자산은 국내 또는 해외의 주가지수, 특정 개별 주식 가격이 됩니다. 기초자산에 따라 ELS의 수익률이 결정됩니다. 기초자산은 상품에 따라 하나일 수도 있고, 2~3개로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ELS의 약 80%가 기초자산이 3개 이상입니다.
수익률
기초자산의 가격이 예측한 범위 내에서 움직인다면 기존에 정해진 확정 수익률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면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고, 최악의 경우 100%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조기상환 배리어
ELS는 일반적으로 3년 만기 상품이지만 6개월에 한번씩 조기 상환 기회가 있습니다. 조기상환 배리어가 ‘85-85-80-80-75-75’인 경우를 예로 설명해 보면 발행 후 최초 6개월 뒤, 기초자산 가격이 15% 미만으로 하락하지 않는다면 정해진 수익률로 조기 상환한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기초자산 가격이 15% 이상 하락했다면 조기상환이 안되고 다음 6개월 뒤에 다시 기초자산 가격에 따라 조기상환이 결정됩니다.
녹인(Knock In) 배리
녹인 조건에 따라 원금손실 가능성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0KI(녹인조건 50)은 기초자산이 만기까지 50%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는다면 만기상환 시 원금과 약속된 이자를 지급받습니다. 대신 기초자산 가격이 50% 이상 떨어진다면 녹인 배리어 옵션이 적용되어 최대 100%까지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녹인의 숫자가 낮을수록 안정적인 상품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녹인 구간에 진입한 적이 있더라도 자산 평가 때 하한선 이상으로 올라온다면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지만, 계속 녹인 조건 상태를 유지한다면 결국 손실을 보게 되는 구조입니다.
ELS 위험성
일정 범위 내의 기초자산 하락은 손해를 전혀 안보지만 그 범위를 넘어서는 하락은 원금 손실 위험이 훨씬 큰 비대칭적 손익구조인 도박성 상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중위험-중수익 상품이라고 홍보하고 있지만, 기초자산 가격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움직인다는 범위는 절대 없습니다. 기초자산 중 단 하나만 녹인 구간에 진입하더라가도 원금손실 발생 가능성이 커지는 고위험 상품입니다.
최근 홍콩 H지수가 크게 하락하면서 H지수가 기초자산으로 편입된 ELS의 손실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 H지수가 편입된 ELS 잔액이 약 8조원 정도로 파악되고 있는데 H지수가 현재 수준으로 계속 유지된다면 만기 때 약 4조원 정도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맺음말
ELS는 안전한 상품으로 보이는 면도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100%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 상품입니다. 어떤 주가 지수나 특정 주식도 급등락 없이 정해진 구간 내에서만 움직인다는 보장이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ELS는 위로는 어느 정도 한도가 있지만, 아래로는 한도가 없이 열려 있기 때문에 투자 전 상품 구조를 숙지하고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ELS의 뜻과 상품 구조, 위험성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토큰증권과 STO 의미와 특징에 대한 기초 정리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토큰증권 시장이 금융시장의 신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토큰증권은 실물 자산을 기초로 발행되므로 실물 자산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는 대체투자 수단이
reviewunited.tistory.com
리츠(REITs) 투자 뜻, 장단점 등 기본 개념 정리
리츠는 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서 부동산에 투자한 뒤 발생한 수익을 배당으로 돌려주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부동산 투자회사입니다. 리츠 투자는 개인투자자들이 소액으로 대규모 부동산
reviewunited.tistory.com
퇴직연금 TDF(타겟데이트펀드)의 뜻과 장단점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제도가 의무화되면서 TDF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증시가 부진하고 고금리가 이어지고 있어서 TDF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지는 않지만 장기 투자용 상품이
reviewunite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