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부분 기업은 연말에 먼저 배당받을 주주를 확정하고, 다음 해 주주총회에서 배당금을 확정합니다. 즉, 배당금이 얼마인지 모르는 상황에서 투자를 하고 배당금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불합리함을 개선하고자 올해 1월 금융위원회는 배당금 확인 이후 배당주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였으며, 이에 따라 기업들도 배당기준일 변경 공시를 통해 이와 같은 사실을 알리고 있습니다. 연말이 가까워오면서 배당주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목차
배당절차 제도 개선
기존 절차
통상 12월 말일을 배당기준일로 설정하고 그 날 기준 주주는 다음 해 3월 정기주총에서 배당여부와 배당액을 결정하고 배당금을 수령하게 됩니다. 즉, 배당받을 주주가 확정되는 날인 12월 31일에는 배당액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예측이 불가능합니다.
배당기준일 변경
선 배당액 확정, 후 배당기준일이 가능하도록 배당을 결정하는 이사회 결의일 이후로 배당기준일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했습니다. 이처럼 배당 절차를 변경하고자 하는 기업은 먼저 정관을 변경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상 효과
배당기준일 변경으로 배당액을 확인하고 배당주 투자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배당주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배당 예측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장기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매년 반복되는 연말 배당락으로 인한 주가 변동성이 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얼마나 많은 기업이 변경했을까
배당기준일을 이사회 결의일 이후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정관을 먼저 개정해야 합니다. 즉, 얼마나 많은 기업이 정관 개정과 같은 사전 준비 절차를 완료했는지 살펴보면 배당기준일을 변경하여 배당액을 지급할 기업에 대해 예상할 수 있습니다.
상장기업 28% 정관 변경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2월 결산 상장회사 2,267개사 중 636개사가 배당 절차 개선을 위한 정관 정비를 완료했습니다. 또한, 이 중 실제로 배당기준일 변경 공시를 한 기업은 12월 20일 기준 코스피 73개사, 코스닥 16개사로 총 89개사입니다. 이 상장회사들은 주주총회를 통해 배당액을 확정하고 배당받을 주주를 결정해야 합니다. 연말까지 아직 시간이 남아있는만틈 배당기준일 변경 공시를 하는 기업은 더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배당주 투자 전략
그동안 배당을 받기 위해 연말에 배당주 투자 수요가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배당기준일을 변경하는 기업이 점차 늘어나면 더 이상 연말에 배당을 받기 위해 배당주 투자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즉 배당주에 집중되는 투자금이 분산되면서 성장주 투자 등으로 분산 효과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배당락을 노리고 집중 매수하는 전략도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면서 배당이 꾸준히 증가하는 기업에 투자가 집중될 수 있으며, 반대로 배당이 축소되는 기업은 피해서 투자하는 전략을 취할 수도 있습니다.
아직 배당기준일을 변경한 기업이 많지 않으므로 올해도 연말 배당락이 발생하여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나, 점점 배당기준일을 변경하는 기업이 많아질수록 충격은 점차 완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맺음말
배당기준일 변경은 올해 제도개선이 이루어지고 처음 시행 중으로 과도기를 지나고 있습니다. 국내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해 배당 절차를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도록 변경하는 것입니다. 과도기 중에 투자자 혼란이 있을 수 있으나, 기업과 금융당국은 정보공개와 공시 등을 강화함으로써 혼란은 미연에 방지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도 배기준일이 언제인지 투자 의사결정 전에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자영업자, 소상공인을 위한 2조원 규모 상생금융 지원
은행권이 '2조원+α' 규모의 상생금융 지원방안을 발표했습니다. 2조원+α 규모 지원액은 역대 최대로 지원 대상은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입니다. 인당 평균 85만원 수준의 이자 환급을 받을 것으로
reviewunited.tistory.com
주주행동주의와 행동주의 펀드 뜻과 사례 정리
주주행동주의는 기업 지배구조, 재무구조, 환경, 사회적 책임 등에 대한 개선 요구와 주주 환원 정책 변화 등을 요구하며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를 지향하는 이론입니다. 이러한 가치를 실현하고
reviewunited.tistory.com
국내주식 대주주 주식 양도세 기준 완화 이대로 무산?
매년 12월이 되면 주식시장에서 대주주 주식 양도세를 피하기 위한 개인투자자의 주식 매도세가 강해지는 경향이 반복됩니다. 일반적인 개인투자자는 주식 양도세 부과 대상이 아니지만, 대주
reviewunited.tistory.com
주식용어 공개매수 의미와 목적, 절차, 세금 등에 대한 정리
공개매수는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공개적으로 주식을 매수하는 것으로 쉽게 표현하면, “저에게 얼마에 주식을 파세요”라고 나서는 것입니다. 흔히 경영권 분쟁이나 M&A 시 지분 확보를 위해
reviewunite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