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I는 생산자물가지수, CPI는 소비자물가지수로 모두 물가를 수치로 나타낸 지수의 종류입니다. 물가지수는 물가의 변동과 흐름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경제지표입니다. 생산자 관점인지 소비자 관점인지에 따라 생산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로 구분됩니다. 물가지수 발표에 따라 주식시장이 등하락하고, 정부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통화정책의 근거로 쓰이기도 합니다. 지금부터 PPI와 CPI의 정확한 의미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CPI (Consumer Price Index)
CPI는 소비자들이 특정 기간 동안 구매한 재화나 용역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 값입니다. 소비자 관점에서 구매 동향 및 인플레이션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기준연도의 물가를 100으로 가정하고 수치화하여 물가 수준을 비교할 수 있도록 표현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하는 경우 인플레이션으로 가계의 실질 가처분 소득이 감소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시수에서 파생된 지표로 Core CPI(근원 소비자물가지수)가 있는데, 이것은 CPI에서 변동성 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하고 산출한 지수입니다.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미국 FOMC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CPI와 함께 중요하게 참고하는 지표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PPI(Producer Price Index)
PPI는 생산자가 시장에 출하는 상품의 평균적인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로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되지 않는 원재료, 중간 재료 등도 조사 대상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넓은 범위의 물가지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상승하는 경우, 생산비용이 높아지면서 최종 소비자 가격도 같이 오르게 됩니다. 따라서 생산자물가지수가 상승하면 소비자물가지수도 따라서 상승하게 됩니다.
CPI와 PPI의 중요성
CPI와 PPI가 중요한 이유는 CPI와 PPI를 통해 인플레이션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고 인플레이션 정도에 따라서 기준금리의 인상, 인하하는 통화 정책이 수립되기 때문입니다. 통화 정책의 궁극적 목표는 물가 안정이므로 물가지수가 상승하면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 당위성이 커지는 것입니다.
금융 시장에 미치는 영향
CPI와 PPI가 예상보다 상승한 경우 인플레이션이 높다는 의미가 되고 기준금리가 상승하게 됩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투자 자금이 주식시장보다 안정적인 은행의 예금, 적금 상품 등의 투자 매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주식 시장에는 악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CPI와 PPI가 예상보다 낮다면 금리 동결 또는 인하의 가능성이 커지고, 그렇게 되면 시장의 유동성이 주식시장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주식시장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맺음말
물가지수는 인플레이션을 측정할 수 있는 중요한 경제 지표입니다. 인플레이션 정도에 따라 통화 정책의 방향이 결정되고 한 나라의 모든 경제 주체에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참고로 미 연준은 소비자들에게 부담을 주는 지나친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는 지나친 디플레이션도 경계하면서 인플레이션 2%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매월 발표되는 CPI와 PPI 지수를 보면 향후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인하 여부를 결정하는 통화 정책의 방향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CPI와 PPI의 의미와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